![](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N942A/btrvUCnzlQ3/d0iVKkJx8mfiYolPpLLy20/img.jpg)
"나는 부자가 될 수 있다. 나는 이미 부자다" 소리 내어 반복하면 그 소리를 듣는 순간 뇌가 부자처럼 작동하는데 부자 소fl를 자주 듣게 된다면 부자의 안목으로 사물을 보고 부자처럼 행동하게 된다는 "시크릿"류의 행동 원칙 들을 이 책은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백만장자들의 돈의 비밀 백반 장자들은 목표를 가슴에 품고 믿고 달성하는 전략을 사용해 왔는데 영화배우 짐 캐리의 일화는 유명합니다 단역을 전전하던 짐 캐리는 어느 날 "이렇게 살아서는 안돼"하고 꿈을 실현하려고 할리우드가 한눈에 보이는 높은 곳으로 올라 "5년 후 천만 불을 꼭 나 자신에게 주고 말겠어" 다짐하며 가짜 수표에 천만 불 금액을 적었고 반드시 그렇게 된다는 믿음으로 가짜 수표를 지갑에 넣고 다니며 열심히 연기 생활을 이어 갑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HAtw/btrvEHKopAi/TsfyEdT7b1Fckbwr34Mgak/img.png)
감사와 반성 인생을 성공적으로 잘 사는 사람의 능력 중 하나는 잘 버티는 것입니다 버텨야 기회가 오기 때문인데 기회를 잡고 극대화 하는 사람, 잘 버티는 사람은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가? 바로 감사해야 한다는 것을 들 수 있습니다 일상엔 많은 사소한 일들이 있지만 이를 가벼이 여기지 않고 감사하면 힘이 나고 살아갈 이유가 생깁니다 사실 사소하게 입에서 나오는 "감사합니다" 조차도 잘 안 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입니다 또한 많은 자기 계발 서적이나 웹페이지, 사이트 등의 성공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적인 사연의 내용은 '반성'입니다 자신을 성찰하고 성공을 이룬 많은 사람들을 살펴보면 '반성'을 기점으로 생이 반등하였다는 것입니다 잘못 안 하는 사람 없고 실수 안 하는 사람 없습니다 과거의 일이지만 이에 계..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0X3lv/btrvylAqYyT/D4j9fJyqnJ1PbZwlpjm7KK/img.jpg)
알랭 드 보통(Alain de Botton)은 우리 시대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이고 펴내는 책마다 베스트셀러가 되는 작가이자 수많은 사람들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인생 학교'를 전 세계에 설립한 활발한 사회 운동가 이기도 합니다 알랭은 평생 숙명처럼 붙어 다니는 두 명제, '두려움'과 '불안'을 우리가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 감사하라 "당신의 삶을 너무 타인에게 맡기고 있기 때문이다" 당신이 원하는 것과 향하는 곳을 알면 타인의 중요성은 뚜렷하게 약해지는 반면 당신의 길이 모호할수록 타인의 목소리와 주변의 혼란, 소셜 미디어의 통계와 정보 등이 점점 커지면서 위협적으로 다가온다고 말합니다 또한 '이해받지 못하고 있다'는 자신의 불안 때문에 당신 에게 못되게..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7ifud/btrvtASx75l/xdo8zx2VClBpSiK0pkd0OK/img.jpg)
한국인의 소비문화에서 브랜드는 상당한 영향을 끼칩니다 브랜드는 강력한 선택 기준이 되며, 브랜드에 의존하고 브랜드를 소비하는 성향이 강하며 브랜드 선호 양극화도 뚜렷해지는데 이러한 양극화는 브랜드 고정관념에 의해 생기는 것입니다 한국에서의 브랜드 고정관념은 한 브랜드의 명운을 좌우할 만큼 큰 힘을 가지는데 긍정적 고정관념을 심기 위한 브랜드 마케팅이 중요하게 됩니다 "제품이 아무리 좋아도 안 팔리니 유명 브랜드의 OEM이나 하는 수밖에..." "우리나라 사람들은 제품 고를 때는 브랜드부터..." 말은 제각기 다르지만 의미하는 것은 동일합니다. 바로 '브랜드의 효과'를 의미하는 말들입니다 소위 이름 없는 무명 브랜드, 아무리 품질이 좋아도 소비자 들이 찾지를 않는다. 한국에서는 거역할 수 없는 현실인 것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