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spRna/btrutk3IXlr/BBuWlMrOVu599cWJ22Yta0/img.jpg)
우리나라에서 품격 지향 마케팅은 성공률이 높은 마케팅 기법 중의 하나입니다 전통적인 상향 지향 가치 구조에 고급 이미지를 통한 차별성 부각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소비자를 끄는 매력이 큽니다. 수익 향상, 안정적 판매 가능, 브랜드 가치 상승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큰 품격 마케팅 기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품격의, 품위 있는, 명품 요즘 흔히 볼 수 있는 문구들입니다 어느 순간 우리 주변에는 이런 품격 지향의 언어들이 지배하고 있으며 품격 지향 수식어들이 쓰이는 산업도 다양합니다 '고품격 이유식, 프리미엄 주스'와 같은 식음료에서 귀족적 분위기의 궁전, 성을 연상시키는 '팰리스, 캐슬' 이 들어가는 아파트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제품에서 품격 지향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명품이라는 단어는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NKpiC/btruBbFek3o/j0iAE9m1c22oyr0Y1ICwdK/img.png)
인류 역사에는 3번의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농업혁명입니다 식량이 늘어나니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 수 있게 되었고 군대를 기반으로 강력한 국가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식량이 권력이었고 부자를 표현할 때 천석꾼, 만석꾼이란 말도 있었던 것처럼 넓은 농지에서 얼마나 많은 일꾼이 수확을 할 수 있는가를 함축한 의미가 곧 권력의 척도가 되었습니다 두 번째 산업혁명 시기에는 기계와 증기기관의 발달에 의해 대량생산과 운송이 가능해져 기업의 생산성이 늘어났고 쌀과 농지로 축적하기 힘들 만큼 부를 갖는 집단이 생기고 부를 축적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인 화폐를 만듭니다 화폐는 금융업의 발전을 가져오고 돈은 권력의 중심이 됩니다 세 번째는 정보혁명입니다 기업의 숫자가 늘어나고 자본가도 증가하면서 경쟁..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bjW26/btrubvxuiDe/0Ihc92RuqksLR6AtAhgwkK/img.jpg)
"아침에 눈 뜨면 감사부터 하라" 세계 경제와 사회를 리딩 하는 유태인들 그들의 힘은 어디에서부터 비롯되었는가? 누구나 이 질문에 대한 답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바로 '교육'이지요 왜? 아침에 눈뜨면 감사부터 하라고 말할까? 그건 소위 유대인들이 성공하는 이유, 그 핵심중 하나가 감사이기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 책은 부제에서 말하고 있는 것처럼 부모가 자녀들에게 꼭 가르쳐야 할 내용에 대해 말하고 있는데 특히 감사에 관한 특별한 포커스를 맞추고 있습니다 유대인의 저력은 어디에서 나올까? 감사는 현재에 대한 만족과 함께 미래에 대한 낙관성을 기르게 하고 어떠한 시련과 역경 속에도 이를 뚫고 나가는 힘의 근원이 된다 전합니다 이 감사가 유대인들에게 어떤 의미인지 그들의 는 이렇게 얘기합..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yaJu4/btruc55r9sC/uYbo5buDmA46XKeBlpzztk/img.jpg)
최근 들어 누구나 스토리의 중요성을 말합니다 그리고 마케팅이나 기획, 홍보 분야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핵심분야로 두고 구조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스토리텔링이란 무엇인지 흥미로운 얘기로 한 번 풀어보겠습니다 거짓말, 나쁜 이야기 한국 언론진흥재단 보고서에 의하면 나이대별 분류에서 20대와 60대가 허위정보를 가장 많이 접한다고 하는데 이 결과만 보면 10대 초등학생은 예외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SNS와 유튜브 사용률과 인지능력의 부족으로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 높은 비율로 해당한다고 볼 수 있는데 다음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2018년 7월 개봉한 영화 은 워너브라더스 코리아가 190억 원을 투자한 대작이었지만 관객 수 89만여 명에 그치며 흥행에 참패했습니다. 손익분기점은 600만 명이었죠. 여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