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인류 역사에는 3번의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농업혁명입니다
식량이 늘어나니 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살 수 있게 되었고
군대를 기반으로 강력한 국가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식량이 권력이었고 부자를 표현할 때
천석꾼, 만석꾼이란 말도 있었던 것처럼 넓은 농지에서
얼마나 많은 일꾼이 수확을 할 수 있는가를 함축한
의미가 곧 권력의 척도가 되었습니다
두 번째 산업혁명 시기에는
기계와 증기기관의 발달에 의해 대량생산과 운송이
가능해져 기업의 생산성이 늘어났고
쌀과 농지로 축적하기 힘들 만큼 부를 갖는 집단이 생기고
부를 축적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인 화폐를 만듭니다
화폐는 금융업의 발전을 가져오고 돈은 권력의 중심이
됩니다
세 번째는 정보혁명입니다
기업의 숫자가 늘어나고 자본가도 증가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돈도 흔한 권력이 되면서 단순히 돈이 있다고
부와 힘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닌 언제 어디에 투자할지가
중요해지면서 옳은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정보가
중요해졌습니다. 좋은 정보가 돈보다 더 귀한 세상이 되고
정보가 곧 권력이 된 것이죠
미디어 세상 디지털 권력
미디어란 데이터와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를 말합니다
신문, 라디오, TV 등 매스미디어가 생겨나면서 사람들은
빠르게 뉴스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매일매일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면서 매스미디어는 여론을 움직이는 힘을
갖게 됩니다. 정부와 기업에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게
되죠. 매스미디어 시대가 되면서 정보는 한층 더 권력을
갖게 됩니다
미디어가 디지털 기술과 만나면서부터 정보의 빅뱅
시대를 맞게 됩니다.
컴퓨터가 개발되면서 더 많은 정보를 저장, 활용할 수
있게 된 데다 인터넷에 의해 전 세계가 연결되면서
더 많은 사람들이 더 많은 정보를 무료로 접하게 되는데
과거 정보 자체가 귀하고 소중했다면 이제 정보는
흔한 것이 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유용한 정보를 빨리
찾고 허위정보를 분별해내는 능력이 중요해졌습니다
레거시에서 1인 미디어로
특히 매스미디어 시대에는 사람들이 미디어를 통해서
정보를 받고 소비하기만 하는 피동적인 입장이었지만
이제는 누구나 미디어를 직접 운영하고 정보를 생산
하는 능동적인 입장이 되었습니다
국민 누구나 정보 수신자인 동시에 송신자가 된 거죠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으로 대표되는 SNS와
아프리카 TV, 유튜브와 같은 1인 방송 채널을 통해
자기표현 활동이 더욱 쉬워지고 활발해졌는데 과거
매스미디어만이 정보를 독점한 권력 하에서는 나를
알릴 기회가 굉장히 제한적이었던 것과는 다르게
이제는 개인 미디어를 통해 누구나 자신의 체험,
생각, 의견과 제한받지 않는 고급 정보까지도 알리고
전파할 수 있게 된 것인데 이제 정보의 힘, 파급력
자체가 1인 미디어, 크리에이터라 불리는 개인이
갖게 되는 세상에 이르렀습니다
미디어의 순기능, 역기능
미디어의 순기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많습니다
뉴스의 일기예보, 경제 관련 동향들, 사회 칼럼과
논평.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각국의 민주화 운동,
부패를 알리는 SNS 등 미디어는 사회 통제 역할을
합니다. 물론 엔터테인먼트나 오락적 콘텐츠로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고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
하면서 인류 문화에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대로 역기능을 보면 이런 권력들과 결탁할 경우
정보를 통제, 임의로 조장할 수 있고 미디어의 주
수익원이 광고이기 때문에 광고주, 즉 돈을 쥐는
기업에 유리한 정보를 흘리면서 소비자와 국민을
기만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최근의 가짜 뉴스는 그 정도가 매우 우려스럽습니다
인터넷 상에서 기사를 클릭하다 보면 출처를 제대로
알 수 없는 정보도 많고 출처가 분명하다 해도 제목
만으로는 그 기사의 진위와는 다른 내용 또한 메이저
언론사라 해도 출처와 의도가 의도적으로 왜곡된
기사도 있고 사실과 확인되지 않은, 동떨어진 나몰라
식의 기사도 있을 만큼 미디어에 대한 신뢰도 바닥을
치고 있는 현실입니다.
이 밖에 정보 과잉이나 SNS 중독, 일방적이고
편협한 정보 치중 같은 일들은 비일비재한 정보의
역기능이라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를 잘 활용하며, 콘텐츠를 소비하고
분석하며 공유하는 생산능력과 소양'을 말합니다.
종이와 책을 넘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세상에서 원하고
찾기만 한다면 누구나 정보를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를 읽고 쓸 줄 아는 능력은 곧 지식과 정보를
구하는 능력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
즉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디지털 세상에서 핵심적으로
힘이 되는 기반 능력이 되는 것이라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에 더해 가짜와 허위 정보를 개인 스스로가 걸러내고
분별해 내는 능력을 기반으로 디지털 윤리를 배우고
이에 걸맞은 인성을 갖는 윤리의식과 책임 있는 시민
의식을 갖는 자세가 궁극적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라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고맙습니다
'라이프 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시대의 사회 참여 (0) | 2022.03.02 |
---|---|
품격 지향의 마케팅 (0) | 2022.03.01 |
스토리텔링 이야기의 힘 (0) | 2022.02.23 |
AI 디지털경제 리터러시 (0) | 2022.02.20 |
NFT 의미와 구성 개념잡기 (0) | 2022.02.19 |